외부 조달과 특별 조달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외부 조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과 STO, 외주임가공, 위탁에 대한 특별 조달에 대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 External Procurement Process(외부 조달)
- Stock Transfer with Stock Transfer Order(재고이동)
- Subcontracting(외주임가공)
- Supplier Consignment(공급업체 위탁)
Procurement Cycle
PR -> PO ->협력사로부터 GR -> IV ...-> FI-AP
외부 조달은 내부 문서인 구매요청(PR) 생성부터 시작을 합니다.
다음 행위가 Source 인데 이는 Vendor(Supply)로 이해하면 됩니다.
자재에 대해 구매를 할 때 어떤 협력사로부터 구매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 입니다.
벤더가 결정이 되면 PO를 전달하게 됩니다.
앞서 생성한 PR은 내부 문서이고 PO는 외부로 보내는 문서입니다.
공급업체가 작업이 완료되면 당사로 입고(GR)을 하게 됩니다.
입고 된 이후 현업은 세금계산서 검증을 위해 송장검증(IV)를 실행합니다.
IV를 생성하면 회계부서에(FI) 매입채무(AP)문서가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
생성된 AP를 기반으로 재무팀에서는 돈을 지급하게 됩니다.
Stock Transfer with Stock Transfer Order
재고를 이동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이동유형을 통해 1Step으로 처리와 STO를 이용한 2Step 처리방법이 있습니다.
둘에 대한 차이는 따로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물리적 거리가 멀 때 사용한다고 이해)
2Step으로 처리 할 때에는 STO Order를 통해서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PO의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A플랜트 -> B플랜트로 이동할 경우 A플랜트에서는 출고(GI)가 됩니다.
그러면 재고는 운송중 재고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이 되며 A, B플랜트 어디에도 없고 운송중으로 존재합니다.
B플랜트에서 입고(GR)를 처리 할 때 재고가 이전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ubcontracting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하위 반제품을 외부 공급업체로 부터 제공받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때, 반제품의 하위 원재료를 무상으로 제공하기에 무상사급 또는 임가공이라고 부릅니다.
공급업체는 제공받은 하위 부품으로 반제품(제품)을 생산하여 당사로 납품하는 행위를 임가공 프로세스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공급업체에 무상으로 하위 부품을 제공했기에 해당 재고의 소유권은 당사가 갖고있습니다.
재고의 형태가 특별조달유형 O(외주)으로 구분되어 존재합니다.
반제품(제품)을 입고(GR)하게 되면 하위 구성품은 투입되어 소비가되며 상위 반제품(제품)이 입고(GR)가 되는 형태의 전표가 생성됩니다.
외부 조달 프로세스와는 임가공 BOM의 형태로 진행되는 부분이 차이가 있습니다.
Supplier Consignment
공급업체의 재화를 당사가 물리적으로 갖고 있지만 재화의 소유권은 공급업체가 갖고 있는 형태의 프로세스 입니다.
해당 재고를 당사가 생산공정에 투입하여 사용을 하거나 사내 창고로 재고를 이동을 하면 소유권은 당사로 이전이 되며
사용한 만큼 송장검증(IV)을 통해 공급업체에 정산을 하는 프로세스 입니다.
물건만 필요한 것이기에 PO를 생성 할 때 단가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전에 꼭 필요한 마스터 데이터인 위탁 인포레코드는 생성이 필요합니다.
인포 레코드는 단가 마스터 데이터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위탁 PO를 생성 후 GR을 처리할 때에는 자산의 소유권이 공급업체에 있기때문에 회계문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앞서 말한대로 재고를 사용할 때 회계문서가 발생합니다.
IV시에는 일반적으로 공급업체가 세금계산서를 발행(정발행)하는데 위탁은 공급받은 고객사(당사)가 사용한 만큼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게 됩니다(역발행)
'기본 개념 > MM'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MM] PO(Purchase Order) (0) | 2025.01.08 |
---|---|
MM Overview structure (0) | 2025.01.08 |
구매 모듈에서의 조직 (0) | 2025.01.08 |